암 치료법 암중모색

폐암 표적치료제 내성 발생 시 차세대 치료 옵션 정리

제라쥬 2025. 9. 3. 08:41

폐암 표적치료제 내성 대표이미지

 

암중모색에서는 환자와 가족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폐암 표적치료제 내성 발생 시 차세대 치료 옵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폐암 치료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표적치료제는 특정 유전자 변이를 가진 폐암 환자들에게 획기적인 치료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대부분의 환자에서 약물 내성이 발생하게 되어, 처음에는 잘 듣던 약이 더 이상 효과를 보이지 않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내성 발생은 폐암 환자와 가족들에게 큰 걱정거리가 되지만, 다행히 의학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차세대 치료 옵션들이 개발되어 새로운 희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폐암 표적치료제 내성의 기본 이해

표적치료제 내성이란?

표적치료제 내성(drug resistance)은 처음에는 효과적이던 항암제가 시간이 지나면서 효과를 잃게 되는 현상입니다. 폐암에서 사용되는 표적치료제들, 특히 EGFR 억제제, ALK 억제제, ROS1 억제제 등은 초기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지만, 평균 8-14개월 후 내성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내성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차 내성(primary resistance)은 치료 시작부터 약물이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경우이고, 이차 내성(acquired resistance)은 처음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내성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발생하는 것은 이차 내성입니다.

 

쉽게 이해하기: 표적치료제 내성은 마치 세균이 항생제에 내성을 갖게 되는 것과 비슷합니다. 처음에는 항생제가 세균을 잘 죽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세균이 변화하여 항생제에 견딜 수 있게 됩니다. 암세포도 마찬가지로 표적치료제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이는 마치 적군이 우리의 공격 방식을 파악하고 방어막을 구축하는 것과 같습니다.

 

내성 발생 메커니즘

폐암에서 표적치료제 내성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은 다양합니다. EGFR 돌연변이 폐암의 경우, 1세대 EGFR 억제제(게피티닙, 엘로티닙)에 대한 내성의 약 50-60%는 T790M이라는 새로운 돌연변이가 생기면서 발생합니다. 또한 MET 유전자 증폭, HER2 증폭, PIK3CA 돌연변이 등 다른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서도 내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ALK 재배열 폐암에서도 마찬가지로 ALK 단백질의 구조적 변화나 다른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내성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내성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차세대 치료법 선택에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됩니다.

 

EGFR 돌연변이 폐암의 차세대 치료 옵션

EGFR 돌연변이 폐암의 차세대 치료 옵션

 

3세대 EGFR 억제제

EGFR 돌연변이 폐암에서 1세대 약물(게피티닙, 엘로티닙)에 내성이 발생했을 때 가장 중요한 치료 옵션은 3세대 EGFR 억제제인 오시머티닙(osimertinib, 상품명: 타그리소)입니다. 이 약물은 T790M 내성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에서 특히 효과적이며, 뇌전이에도 좋은 효과를 보입니다.

 

오시머티닙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을 잘 통과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뇌전이가 흔한 EGFR 돌연변이 폐암 환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특성입니다. 임상시험에서 오시머티닙은 T790M 양성 환자에서 약 71%의 반응률을 보였으며, 무진행생존기간(PFS)은 평균 10.1개월이었습니다.

 

최근에는 오시머티닙이 1차 치료제로도 승인되어, 처음부터 3세대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1차 치료로 사용했을 때 무진행생존기간은 평균 18.9개월로 1세대 약물보다 현저히 개선된 결과를 보였습니다.

 

4세대 EGFR 억제제

3세대 EGFR 억제제에도 내성이 발생하는데, 이때 가장 흔한 내성 메커니즘은 C797S 돌연변이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4세대 EGFR 억제제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 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약물들이 여러 개 있습니다.

 

쉽게 이해하기: EGFR 억제제의 세대 발전은 마치 컴퓨터 바이러스와 백신의 관계와 같습니다. 1세대 백신(1세대 EGFR 억제제)이 처음에는 바이러스(암세포)를 잘 잡지만, 바이러스가 변종(T790M)으로 진화하면 새로운 백신(3세대)이 필요해집니다. 그리고 또 다른 변종(C797S)이 나타나면 더 발전된 백신(4세대)을 개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ALK 재배열 폐암의 차세대 치료 옵션

ALK 재배열 폐암의 차세대 치료 옵션

 

2세대 및 3세대 ALK 억제제

ALK 재배열 폐암에서 1세대 ALK 억제제인 크리조티닙(crizotinib)에 내성이 발생하면, 2세대 ALK 억제제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2세대 약물로는 세리티닙(ceritinib), 알렉티닙(alectinib), 브리가티닙(brigatinib) 등이 있습니다.

알렉티닙은 특히 뇌전이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며, 크리조티닙 내성 환자에서 약 50-60%의 반응률을 보입니다.

 

브리가티닙은 다양한 ALK 내성 돌연변이에 효과적이며, 특히 G1202R 돌연변이에도 어느 정도 효과를 보입니다.

3세대 ALK 억제제인 로를라티닙(lorlatinib)은 대부분의 ALK 내성 돌연변이에 효과적이며, 특히 뇌전이에 탁월한 효과를 보입니다. 2세대 ALK 억제제 내성 환자에서도 좋은 효과를 나타내어, ALK 재배열 폐암의 최종 보루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LK 억제제 순차 치료 전략

ALK 재배열 폐암의 치료에서는 내성 메커니즘에 따른 순차 치료가 중요합니다. 각 ALK 억제제는 서로 다른 내성 돌연변이에 대해 다른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내성 발생 시 조직 검사나 혈액 검사를 통해 내성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적절한 다음 치료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타 표적치료제 내성 시 치료 옵션

ROS1 재배열 폐암

ROS1 재배열 폐암에서 크리조티닙에 내성이 발생하면, 2세대 ROS1 억제제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약물로는 엔트렉티닙(entrectinib), 로를라티닙, 세리티닙 등이 있습니다. 엔트렉티닙은 ROS1, TRK, ALK를 모두 억제하는 다중 표적 억제제로, 뇌전이에도 좋은 효과를 보입니다.

 

BRAF 돌연변이 폐암

BRAF V600E 돌연변이를 가진 폐암 환자에서는 다브라페닙(dabrafenib)과 트라메티닙(trametinib)의 병용 요법이 효과적입니다. 이 조합은 흑색종에서 먼저 승인된 후 폐암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 승인받았습니다.

 

MET 증폭 폐암

MET 증폭은 EGFR 억제제 내성의 중요한 메커니즘 중 하나입니다. MET 억제제인 카프마티닙(capmatinib), 테포티닙(tepotinib) 등이 MET 엑손 14 스키핑 돌연변이나 MET 증폭 환자에서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쉽게 이해하기: 다양한 표적치료제는 마치 각기 다른 열쇠와 같습니다. 암세포는 여러 개의 자물쇠(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고, 각 자물쇠에 맞는 열쇠(표적치료제)가 필요합니다. 하나의 자물쇠가 고장나면(내성 발생) 다른 자물쇠를 여는 새로운 열쇠를 찾아야 합니다. 때로는 여러 개의 열쇠를 동시에 사용하는(병용 요법) 것이 더 효과적일 수도 있습니다.

 

면역항암제와의 병용 치료

면역항암제와의 병용 치료 옵션

 

표적치료제 내성 시 면역치료 옵션

표적치료제에 내성이 발생한 경우, 면역항암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s)와의 병용 치료가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PD-1/PD-L1 억제제와 표적치료제의 병용이나 순차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 등의 면역항암제는 표적치료제 내성 후 사용할 수 있는 중요한 치료 옵션입니다. 다만, 표적 유전자 변이가 있는 폐암에서는 면역항암제 단독의 효과가 일반적으로 낮기 때문에, 화학요법과의 병용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삼중 병용 요법

최근에는 표적치료제, 면역항암제, 화학요법을 함께 사용하는 삼중 병용 요법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각 치료의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내성 발생을 늦출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진단 기술과 맞춤 치료

액체 생검(Liquid Biopsy)

내성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한 진단 기술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액체 생검은 혈액 내 순환하는 종양 DNA(ctDNA)를 분석하여 내성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기존의 조직 생검보다 덜 침습적이면서도 빠르게 내성 메커니즘을 파악할 수 있어 치료 결정에 도움을 줍니다.

 

액체 생검은 특히 접근이 어려운 부위의 종양이나 여러 번 생검을 받기 어려운 환자에서 유용합니다. T790M, C797S 등의 EGFR 내성 돌연변이나 ALK 내성 돌연변이를 혈액을 통해 검출할 수 있어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NGS 기술을 이용하면 한 번의 검사로 여러 유전자의 변이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내성 발생 후 다양한 치료 옵션을 모색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희귀한 유전자 변이나 새로운 표적을 발견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쉽게 이해하기: 차세대 진단 기술은 마치 범죄 수사에서 사용하는 고도의 과학 수사 기법과 같습니다. 과거에는 현장에서 직접 증거를 수집해야 했다면(조직 생검), 이제는 미세한 흔적(혈액 내 DNA)만으로도 범인의 정체(내성 메커니즘)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더 정확하고 빠른 수사(치료 계획)가 가능해졌습니다.

 

임상시험 참여를 통한 새로운 치료 기회

폐암 임상시험 참여 기회

 

임상시험의 중요성

표적치료제 내성이 발생한 환자들에게 임상시험 참여는 매우 중요한 치료 옵션입니다. 많은 새로운 표적치료제, 면역항암제, 병용 요법들이 임상시험 단계에 있으며, 이를 통해 최신 치료법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폐암 관련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질병관리청 임상연구정보서비스(CRIS)나 ClinicalTrials.gov를 통해 관련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표적치료제 내성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들이 많이 있으므로, 담당 의사와 상담을 통해 적합한 임상시험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임상시험 참여 시 고려사항

임상시험 참여를 고려할 때는 다음 사항들을 확인해야 합니다. 먼저 자신의 유전자 검사 결과와 이전 치료 이력이 임상시험 참여 조건에 맞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임상시험의 단계(1상, 2상, 3상)에 따라 기대할 수 있는 효과와 위험이 다르므로 이를 충분히 이해해야 합니다.

 

생활 관리와 지지적 치료

내성 발생 시 환자와 가족의 대처

표적치료제 내성이 발생했을 때 환자와 가족들이 겪는 심리적 충격은 매우 클 수 있습니다. 처음 진단받았을 때보다 더 큰 절망감을 느끼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내성 발생이 치료의 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차세대 치료 옵션이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병원 방문과 검사를 통해 내성 발생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다음 치료를 빨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영양 관리,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학제 팀 접근

표적치료제 내성 관리에는 종양내과 의사뿐만 아니라 병리과, 진단검사의학과, 영상의학과, 호흡기내과 등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임상시험 코디네이터, 유전상담사, 사회복지사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표적치료제별 내성 메커니즘과 차세대 치료 옵션 비교표

 

Q1: 표적치료제 내성이 발생하면 반드시 다른 약으로 바꿔야 하나요?

A: 내성 발생의 정도와 범위에 따라 다릅니다. 일부 병변에서만 내성이 발생한 경우(oligoprogression)라면 방사선치료로 내성 병변을 치료하고 기존 표적치료제를 계속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광범위한 내성이 발생했다면 다른 치료법으로 바꾸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영상 검사 결과와 함께 종양내과 의사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Q2: 내성 검사를 위해 다시 조직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A: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최근에는 혈액을 이용한 액체 생검으로도 주요 내성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T790M, C797S 등의 EGFR 내성 돌연변이는 혈액 검사로도 충분히 검출 가능합니다. 다만 액체 생검에서 검출되지 않거나 더 자세한 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조직 생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담당 의사가 환자 상태를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검사 방법을 결정할 것입니다.

 

Q3: 3세대 EGFR 억제제를 1차 치료로 사용하면 내성이 더 빨리 생기나요?

A: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3세대 EGFR 억제제인 오시머티닙을 1차 치료로 사용하면 1세대 약물보다 내성 발생까지의 기간이 더 길어집니다. 임상시험에서 오시머티닙의 1차 치료 시 무진행생존기간은 평균 18.9개월로, 1세대 약물의 9-11개월보다 현저히 개선된 결과를 보였습니다. 다만 3세대 약물에 내성이 발생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다음 치료 옵션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Q4: 표적치료제 내성 후 면역항암제 단독으로 치료할 수 있나요?

A: 가능하지만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EGFR이나 ALK 등의 표적 유전자 변이가 있는 폐암에서는 면역항암제 단독의 효과가 일반적으로 낮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화학요법과 면역항암제를 병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PD-L1 발현이 높거나 종양 변이 부담(TMB)이 높은 경우에는 면역항암제 단독 치료도 고려해볼 수 있지만, 반드시 담당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Q5: 여러 표적치료제를 동시에 사용하면 내성을 예방할 수 있나요?

A: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부작용 때문에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여러 표적치료제를 동시에 사용하면 각각의 부작용이 합쳐져서 견디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현재는 순차 치료(한 약물에 내성이 생기면 다음 약물로 바꾸는 방식)가 표준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다만 일부 병용 요법(예: BRAF + MEK 억제제)은 시너지 효과가 있어 사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병용 요법들이 임상시험을 통해 연구되고 있습니다.

 

표적치료제별 내성 메커니즘과 차세대 치료 옵션 비교표

표적치료제 주요 내성 메커니즘 차세대 치료 옵션 예상 효과 국내 승인 현황
1세대 EGFR 억제제 T790M (50%), MET 증폭, HER2 증폭 오시머티닙 (3세대) 반응률 71% 승인
오시머티닙 C797S, MET 증폭, HER2 증폭 4세대 EGFR 억제제, 병용요법 임상시험 단계 개발 중
크리조티닙 (ALK) L1196M, G1269A, C1156Y 알렉티닙, 세리티닙, 브리가티닙 반응률 50-60% 승인
2세대 ALK 억제제 G1202R, I1171T 등 로를라티닙 (3세대) 반응률 48% 승인
크리조티닙 (ROS1) G2032R, D2033N 엔트렉티닙, 로를라티닙 반응률 77% 일부 승인

 

결론

폐암 표적치료제 내성 발생은 환자와 가족들에게 큰 충격을 주는 사건이지만, 의학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차세대 치료 옵션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EGFR 돌연변이 폐암에서는 3세대, 4세대 억제제가, ALK 재배열 폐암에서는 2세대, 3세대 억제제가 개발되어 있어 순차적 치료를 통해 장기간 병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내성 발생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내성 메커니즘 분석을 통해 가장 효과적인 다음 치료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액체 생검, NGS 등의 진단 기술 발전으로 더 정확하고 빠른 내성 분석이 가능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치료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임상시험을 통해 새로운 치료법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아지고 있으므로, 담당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 방향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표적치료제 내성은 치료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치료 전략이 필요한 시점일 뿐입니다.

본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의학적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항상 담당 의료진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암중모색은 항상 환자분들과 함께 암을 이겨나가는 길을 모색합니다.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시면 암중모색 사이트를 방문해주세요.